문제 인식
“치료 중에 아이가 갑자기 소리를 지르고 뛰쳐나가요.” “강화를 안 주니까 더 심하게 떼를 써요. 잘하고 있는 건 맞나요?”
ABA(응용행동분석) 치료는 체계적인 전략을 바탕으로 행동 변화를 이끌지만, 실제 중재 과정에서는 예상하지 못한 위기 상황이 종종 발생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당황하거나 중재 방향을 흔들리게 되면, 오히려 행동이 악화되거나 부모와 아이 모두에게 스트레스를 줄 수 있습니다.
특히 문제행동이 잠시 심화되는 소거 폭발(extinction burst), 새로운 행동을 도입하는 초기의 저항, 치료사에 대한 과도한 의존 등은 치료 중반에 흔히 나타나는 위기 패턴입니다. 이 글에서는 ABA 치료 과정에서 자주 나타나는 위기 상황의 유형과, 부모가 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처법을 소개합니다.
핵심 개념: 위기는 ‘실패’가 아니라 ‘변화의 전조’
ABA 치료 중 나타나는 위기 상황은 대부분 새로운 행동이 형성되는 과도기적 반응입니다. 행동 변화는 선형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변화 직전에는 오히려 문제행동이 일시적으로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행동이 더 이상 이전처럼 강화되지 않는다는 것을 아이가 인식하며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반응이기도 합니다¹.
Cooper et al.(2020)은 이러한 반응을 ‘소거 폭발(extinction burst)’이라 명명하며, 이전에 강화되던 행동이 강화되지 않을 때 일시적으로 그 행동의 강도, 빈도, 지속시간이 증가한다고 설명합니다². 중요한 것은 이 반응이 나타났을 때 치료 전략을 포기하거나 흔들지 않고, 일관되게 유지하는 것입니다.
또한 치료 중반 이후에는 강화물의 효과가 낮아지거나, 새로운 기술 습득에 따른 피로가 누적되면서 행동 저하, 회피, 무반응 등의 상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역시 ABA 치료의 흐름 속에서 예상 가능한 자연스러운 반응이며, 대처 전략을 통해 다시 안정적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구체 전략: 치료 중 위기 상황 5가지와 대처법
1. 소거 폭발이 발생할 때
- 상황: 기존에 울면 원하는 것을 받던 아동이 더 이상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하게 되자, 더 큰 소리, 물건 던지기, 공격행동 등을 보임
- 대처법: 강화 없이 반응을 일관되게 유지하고, 아동이 원하는 행동을 할 때만 강화 제공. ‘무시’가 아닌 ‘기준 유지’가 핵심
2. 강화를 거부하거나 효과가 줄어들 때
- 상황: 이전에는 좋아하던 사탕, 장난감에 반응하던 아동이 더 이상 관심을 보이지 않음
- 대처법: 선호도 평가를 다시 실시하고, 새로운 강화물을 탐색. 활동 강화(놀이시간, 산책 등)도 함께 고려
3. 치료자에 대한 의존이 심할 때
- 상황: 부모와 있을 때는 훈련 반응을 하지 않지만, 치료사 앞에서는 수행 가능
- 대처법: 부모도 세션 참관 및 중재 연습 참여. 지시 방식, 강화 타이밍 등 일관성 유지. ‘치료실-가정’ 환경 일반화 전략 필요
4. 반응이 갑자기 줄고 무반응 상태가 지속될 때
- 상황: 치료 초기에 잘 반응하던 아동이 최근 과제에 무반응하거나 거부 반응 보임
- 대처법: 과제 난이도 조정, 쉬운 성공 경험 제공. 이전보다 높은 강화 빈도와 즉시성을 확보해 반응률 회복 유도
5. 일시적 퇴행(Regression) 상황
- 상황: 이미 습득한 행동(예: 요청 카드 사용)을 갑자기 하지 않거나, 과거의 문제행동이 다시 나타남
- 대처법: 원인 환경 요인(수면, 감기, 스트레스 등) 점검. 기존 목표를 유지하되 강화 강도를 높이고, 회복될 때까지 일관된 구조 유지
사례 예시
다율(가명, 만 5세)은 요청 행동을 그림카드로 잘 수행하던 아동이었으나, 특정 주간부터 갑자기 울고 소리 지르며 문제행동이 증가했습니다. 부모는 치료가 실패한 것이 아닌지 걱정했고, 중재를 중단하려고도 했습니다.
치료사는 소거 폭발 가능성을 설명하고, 최근 가정 내 강화 제공 조건이 바뀌었는지를 분석했습니다. 확인 결과, 카드 사용 없이 울었을 때 요구가 충족되는 사례가 반복되어 있었고, 이는 아동에게 ‘문제행동이 다시 강화되고 있다’는 학습을 유도한 상황이었습니다.
이후 부모는 울음에는 무반응, 카드 사용에는 강화 제공이라는 조건을 철저히 구분해 적용했고, 1주일 후 다율은 다시 그림카드를 사용해 요구를 표현하기 시작했습니다.
※ 위 사례는 실무 기반 사례를 재구성한 예시이며, 이름은 가명입니다.
마무리 및 실천 가이드라인
ABA 치료 중 나타나는 위기 상황은 실패가 아니라 **변화 과정 중에 반드시 거쳐야 할 ‘신호’**일 수 있습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감정적으로 흔들리기보다, 예측 가능한 패턴으로 받아들이고 적절히 대응하는 것입니다.
다음과 같은 지침을 기억하세요:
- 예상보다 행동이 심해지더라도, 치료 전략을 쉽게 바꾸지 마세요.
- 강화가 작동하지 않으면, 선호도 평가를 다시 실시하세요.
- 아이가 반응하지 않는다면, 과제 난이도와 강화 조건을 점검하세요.
- 퇴행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알고, 일관성을 유지하세요.
- 부모도 치료의 ‘시행자’로 적극 참여하세요.
이러한 접근은 단기적인 문제를 넘어서, 아이의 장기적인 행동 안정성과 학습 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참고문헌
- Lerman, D. C., & Iwata, B. A. (1996). Developing a technology for the use of operant extinction in clinical settings: An examination of basic and applied research.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29(3), 345–382. https://doi.org/10.1901/jaba.1996.29-345
- Cooper, J. O., Heron, T. E., & Heward, W. L. (2020). Applied Behavior Analysis (3rd ed.). Hoboken, NJ: Pearson Education. https://www.pearson.com/en-us/subject-catalog/p/applied-behavior-analysis/P200000003800
'응용행동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에서 만드는 자가 ABA 환경 가이드 (0) | 2025.04.17 |
---|---|
ABA 치료센터 선택 시 체크리스트 (0) | 2025.04.16 |
ABA 치료 받기 전 알아야 할 용어 설명 (0) | 2025.04.14 |
ABA는 꼭 자폐 아동에게만 필요한가요? (0) | 2025.04.14 |
ABA 치료 시작 전 반드시 준비해야 할 5가지 (0)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