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용행동분석

ABA는 꼭 자폐 아동에게만 필요한가요?

damjun 2025. 4. 14. 12:18

응용행동분석

문제 인식

“ABA는 자폐 아동만을 위한 치료 아닌가요?” “우리 아이는 진단은 없지만 집중을 잘 못하는데 ABA가 필요할까요?”

많은 부모들이 ABA(응용행동분석)를 ‘자폐 아동을 위한 특수 치료’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ABA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를 가진 아동의 조기 개입에서 가장 효과가 입증된 중재 방식 중 하나입니다¹. 그러나 ABA의 적용 범위는 자폐에 국한되지 않으며, 행동 원리를 기반으로 한 학습 및 행동중재 체계로서 다양한 발달 특성이나 학습적 어려움을 가진 아동에게도 폭넓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ABA가 왜 자폐 외의 아동에게도 적용 가능한지, 어떤 경우에 ABA가 도움이 되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핵심 개념: ABA는 '행동과 학습'에 작용하는 과학 기반 기법

ABA는 Applied Behavior Analysis의 약자로, 인간의 행동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환경을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행동을 증가시키고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전략적 접근입니다². 즉, 특정 진단이 아닌 '행동' 자체를 중심으로 개입하는 원리이기 때문에, 행동의 형성, 유지, 변화가 필요한 모든 아동에게 적용이 가능합니다.

ABA는 행동의 '원인(선행사건)', '행동 그 자체', '행동의 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조작하여 긍정적 방향으로 유도합니다. 이 접근은 행동주의 심리학의 원리를 기반으로 하며, 오랜 연구와 실천을 통해 그 효과가 입증되어 왔습니다. 특히 단순한 지시-반응 모델을 넘어서, 환경적 조건, 사회적 맥락, 학습 동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점에서 강점을 가집니다.

ABA는 다음과 같은 핵심 절차를 통해 아동의 행동을 중재합니다:

  • 기능적 행동평가(FBA): 행동의 목적과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평가 절차
  • 강화(reinforcement)와 소거(extinction): 긍정적 행동은 증가시키고, 문제행동은 감소시키기 위한 핵심 절차
  • 촉진(prompting), 행동조형(shaping), 연쇄(chaining) 등의 체계적 교수 기법
  • 일반화 및 유지 전략: 특정 상황에서 학습된 행동이 다양한 환경에서 반복되고 유지되도록 설계

이러한 원리는 자폐뿐 아니라 ADHD, 언어지연, 사회성 문제, 정서 조절의 어려움 등 다양한 발달 특성을 가진 아동에게도 적용 가능하며, 일상 속 문제행동이나 사회적 어려움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됩니다. 즉, ABA는 '누구에게 필요한가?'가 아니라, '어떤 행동을 바꾸고 싶은가?'에 따라 접근이 결정되는 보편적인 행동 지원 방법입니다.


구체 전략: 비진단 아동에게도 ABA가 적용되는 5가지 예시

ABA는 진단 여부와 관계없이 특정 행동을 향상시키거나 감소시켜야 하는 상황에 모두 적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유형의 아동에게 효과적으로 활용됩니다:

1. 주의집중이 어려운 아동에게 과제 완성력 높이기

  • 주의력결핍이나 학습 회피 행동을 보이는 아동은 긴 과제 시간에 쉽게 지루함을 느끼고 도중에 자리를 뜨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ABA에서는 과제를 짧은 시간 단위로 나누고, 완료 시 즉각적이고 의미 있는 강화물을 제공하여 행동을 형성합니다.
  • 예: 2분 동안 그림자 잇기 과제를 마치면 스티커 제공 → 5분 과제로 점진적 확장

2. 또래 관계가 서툰 아동의 사회 기술 훈련

  • 또래와의 놀이에 어려움을 겪는 아동은 사회적 단서 해석, 적절한 표현 방식, 대화 순서 이해 등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ABA에서는 역할놀이, 모델링, 피어트레이닝을 활용해 이러한 기술을 반복적으로 훈련하고, 사회적 강화로 일반화를 촉진합니다.
  • 예: 친구에게 먼저 인사하기 → 함께 놀이 제안하기 → 감정 나누기 등 단계 구성

3. 고집이 강하거나 변화에 민감한 아동의 일상 루틴 개선

  • 전이 상황에서 강한 저항을 보이는 아동은 예측력과 통제력을 높이는 중재가 필요합니다. ABA에서는 시각 일정표, 사전 경고, 보상 예고 등 구조화된 환경 조성을 통해 이러한 저항을 낮추고 유연성을 확장합니다.
  • 예: "10분 뒤 장난감 정리" 시각 타이머 + 정리 후 간식 강화 제공

4. 언어가 늦은 아동의 요구 행동 촉진

  • 말을 하지 못하거나 표현력이 약한 아동은 요구 상황에서 문제행동(울기, 떼쓰기)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때 ABA는 요구 행동을 제스처, 그림카드, 음성, 단어 등 단계적으로 구성하여 점진적으로 언어적 표현으로 전환되도록 돕습니다.
  • 예: 장난감 가리키기 → 그림카드 주기 → "공 주세요" 말하기 유도

5. 비진단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

  • 특별한 진단은 없지만 지속적 짜증, 공격성, 회피, 회피 후 강화받는 행동을 보이는 아동은 FBA(기능적 행동 평가)를 통해 행동의 목적을 파악하고, 강화물을 조절하거나 대체 행동을 가르치는 방식으로 문제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 예: 숙제 시작 전 짜증 → 숙제 대신 놀기 → 회피 강화 → 이를 차단하고 요청 카드를 통해 휴식 요청을 대체 행동으로 교육

이처럼 ABA는 다양한 행동 유형과 환경에 맞춰 탄력적으로 조정되며, 개별 아동의 특성과 반응 양상에 따라 정밀하게 설계된 행동 프로그램으로 실질적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과제 지속력을 향상시킵니다.


사례 예시

준호(가명, 만 5세)는 자폐 진단은 없었지만, 주의집중이 매우 낮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거의 없었습니다. 부모는 ‘그냥 느린 성향’이라 여겼지만, 어린이집에서는 고립 행동과 과제 수행 거부가 반복된다는 보고가 이어졌습니다.

ABA 기반 접근을 통해 준호는 간단한 시각 일정표와 보상 토큰을 활용한 ‘과제 시작-완료-보상’ 구조로 하루 일과를 구성하게 되었습니다. 과제 시간은 3분 단위로 나누고, 완료 시에는 좋아하는 동물 퍼즐 시간을 부여했습니다.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유도하기 위해 역할놀이 중간에 치료사가 개입해 질문하는 훈련을 반복적으로 실시했습니다.

3개월 후 준호는 10분 과제를 집중해 수행할 수 있게 되었고, 또래와의 놀이 중 단순 대화도 가능해졌습니다. 자폐 진단은 없었지만, ABA의 원리를 활용한 조기 중재는 분명한 발달적 효과를 보여주었습니다.

※ 위 사례는 실무 경험을 기반으로 재구성한 예시이며, 이름은 가명입니다.


마무리 및 실천 가이드라인

ABA는 단순히 자폐 아동만을 위한 도구가 아니라, **모든 아동이 더 나은 행동, 소통, 사회성을 배울 수 있도록 돕는 ‘원리 기반 접근’**입니다. 만약 내 아이가 특정 진단은 없더라도 다음과 같은 특성을 보인다면, ABA 중재의 적용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과제에 집중하지 못하고 산만함이 크다
  • 또래와 잘 어울리지 못하고 혼자 있는 시간이 많다
  • 간단한 요구를 표현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 일상 변화에 과도한 불안을 보이거나 고집이 세다
  • 같은 문제행동이 반복되고 잘 조절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ABA는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고, 긍정적인 행동으로의 전환을 도와주는 매우 실용적인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행동 평가를 받고, 작은 전략부터 시작해보는 것도 좋은 출발입니다.


참고문헌

  1. Makrygianni, M. K., & Reed, P. (2010). A meta-analy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behavioral early intervention program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Research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4(4), 577–593. https://doi.org/10.1016/j.rasd.2010.01.014
  2. Cooper, J. O., Heron, T. E., & Heward, W. L. (2020). Applied Behavior Analysis (3rd ed.). Hoboken, NJ: Pearson Education. https://www.pearson.com/en-us/subject-catalog/p/applied-behavior-analysis/P200000003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