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부모의 고민으로 시작하기
“우리 아이는 하고 싶은 게 있어도 가만히 있거나 소리만 질러요. 말을 못 하니까 뭘 원하는지도 모르겠고, 자꾸 짜증만 내요...”
이런 상황은 말을 하지 못하는 아동뿐만 아니라, 말을 할 수 있지만 요청 표현을 학습하지 못한 아동에게서도 자주 나타납니다. 요청 행동(requesting)은 의사소통의 가장 기본이자, 문제행동을 예방하는 핵심 중재 목표입니다. 응용행동분석(ABA)은 이러한 요청 행동을 단계적이고 체계적으로 가르치는 접근법을 제공합니다.
🎯 ABA 원칙과 연결: 요청 행동이 중요한 이유
- 행동 기능 중 핵심 기능: 많은 문제행동은 사실 요청을 말로 하지 못해서 나타납니다. 예: 장난감을 갖고 싶은데 말하지 못해 던지거나 소리 지름
- 긍정적 대체 행동: 요청은 문제행동의 기능(주의 끌기, 회피 등)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건강한 대체 행동입니다¹⁾
- 강화 기반 학습 가능: 요청 행동은 아이가 원하는 것을 강화물로 제공하면서 빠르게 학습시킬 수 있어 초기 중재 목표로 매우 효과적입니다.
- 의사소통의 출발점: 요청 행동은 비언어·언어 아동 모두에게 의사소통의 기초가 되며, 이후 발화, 대화 등으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²⁾
🧩 요청 행동을 가르치는 4단계 전략
1. 선호도 평가부터 시작하기
- 왜 중요한가?: 아이가 무엇을 원하는지 모르면 요청도 만들 수 없습니다.
- 어떻게 하나요?: 아이가 관심을 보이는 장난감, 음식, 활동을 관찰하고, 여러 항목을 두고 선택하게 하여 선호도를 파악합니다. (예: 손 뻗기, 웃음, 바라봄 등으로 표시)
- 주의할 점: 선호도는 변동되므로 매일 또는 주기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2. 모형 제시(Prompting)를 통한 요청 유도
- 왜 중요한가?: 요청을 처음부터 스스로 하긴 어렵기 때문에 도움이 필요합니다.
- 어떻게 하나요?: 손 인도, 말 모델링, 시각카드 제시 등 다양한 촉진(prompt)을 사용해 요청 행동을 유도합니다. 예: 말 대신 그림 카드 건네기 → 사과 제공
- 주의할 점: 촉진은 점차 줄여야 하며, 아이가 자발적으로 요청할 수 있도록 계획해야 합니다.
3. 요청 후 즉각적이고 일관된 강화 제공
- 왜 중요한가?: 요청을 했을 때 바로 원하는 결과가 주어져야 학습이 일어납니다.
- 어떻게 하나요?: 아이가 그림 카드를 제시하면, 즉시 사과를 주고 “사과 주세요 했구나! 정말 잘했어!”라고 말하며 언어 + 실제 보상을 동시에 제공합니다.
- 주의할 점: 강화물은 아이의 현재 관심사와 일치해야 하고, 반응은 2~3초 이내에 제공해야 효과적입니다.
4. 다양한 맥락에서 일반화 연습
- 왜 중요한가?: 치료실에서만 요청하면 실제 삶에서 의미가 없습니다.
- 어떻게 하나요?: 가정, 유치원, 마트 등 다양한 장소와 사람과 함께 요청을 연습합니다. 처음엔 같은 자료(예: 동일 그림카드)를 활용하고, 점차 자연스러운 상황 요청으로 확장합니다.
- 주의할 점: 환경이 바뀌면 요청 행동이 줄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연습과 강화가 필요합니다.
📌 사례 예시: 요청 행동 훈련의 실제
지유(가명, 만 4세)는 비언어 아동으로, 간식을 원할 때마다 소리를 지르거나 바닥에 드러눕는 행동을 보였습니다. 치료사는 선호도 평가 후 지유가 가장 좋아하는 바나나 사진이 담긴 PECS(그림 교환 의사소통 시스템)를 준비했습니다.
처음에는 지유가 사진을 집는 데 손 인도를 제공했고, 성공하면 바로 바나나를 제공하며 반복했습니다. 2주 후, 지유는 손 인도 없이도 바나나 그림 카드를 스스로 치료사에게 건넸고, 같은 행동을 가정과 유치원에서도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 이 사례는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구성된 가명 사례입니다.
✅ 부모를 위한 실천 체크리스트: 요청 행동 지도
항목 체크 여부
우리 아이가 좋아하는 것을 목록화했는가? □ 선호도 평가를 매주 반복하고 있는가? □ 요청 행동을 유도하는 시각자료를 활용 중인가? □ 요청 후 3초 이내에 원하는 것을 제공하고 있는가? □ 가정 외 장소에서도 요청 연습을 시도했는가? □ 요청에 성공했을 때 아이에게 충분한 칭찬을 했는가? □ 촉진 없이 자발적 요청이 나타나는 상황을 기록 중인가? □ 교사나 치료사와 요청 지도 방식이 일치하는가? □ 요청 행동 중 문제행동이 감소하고 있는가? □ 요청 표현 방식이 다양해지고 있는가? □
📚 참고문헌
- Carr, E. G., & Durand, V. M. (1985). Reducing behavior problems through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18(2), 111–126. https://doi.org/10.1901/jaba.1985.18-111
- Bondy, A., & Frost, L. (2001). The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 Behavior Modification, 25(5), 725–744.
- Cooper, J. O., Heron, T. E., & Heward, W. L. (2020). Applied Behavior Analysis (3rd ed.). Pearson Education.
요청은 모든 의사소통의 출발점입니다.
요청 행동을 키워주는 작은 실천이, 아이에게 더 큰 자기표현의 세상을 열어줄 수 있습니다.'응용행동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싫어요 대신 도망치는 아이, 회피 행동에 대한 대응 전략 (0) 2025.05.06 문제행동이 반복될 때, ABA로 기능을 파악하는 법 (0) 2025.05.05 행동빈도 감소 목표의 효과 측정 지표 설계 방법 (0) 2025.05.03 ABC 데이터 분석의 실제 적용 사례 (0) 2025.04.29 중재 계획 리뷰 시점 판단 기준과 수정 전략 (0) 202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