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부모의 고민으로 시작하기
“우리 아이는 이유 없이 자꾸 울어요. 간식 시간만 되면 갑자기 바닥에 드러눕거나, 화장실 가기 전마다 소리를 지르기도 해요. 도대체 왜 이런 행동을 하는지 모르겠어요.”
많은 부모가 아이의 문제행동을 볼 때 ‘이유 없이’, ‘감정 기복이 심해서’라고 느낍니다. 하지만 ABA(응용행동분석)에서는 모든 행동에는 기능이 있다는 관점에서 접근합니다. 아이의 문제행동을 단순히 억제하거나 없애려 하기보다, 그 행동이 왜 발생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재의 첫걸음입니다.
🎯 ABA 원칙과 연결: 기능적 행동 평가의 핵심 원리
- 모든 행동은 목적을 가진다: 행동은 그 자체로 ‘의사소통’이며, 어떤 환경적 결과를 얻기 위해 발생합니다.
- 행동의 기능 파악은 중재의 출발점: 행동의 ‘기능(목적)’에 따라 완전히 다른 중재 전략이 필요합니다. 같은 행동이라도 기능이 다르면 대처도 달라야 합니다¹⁾.
- 4가지 주요 기능 구분: ABA에서는 행동의 기능을 크게 4가지로 나눕니다:
- 주의끌기 (Attention)
- 회피/거부 (Escape/Avoidance)
- 감각자극 (Sensory/Automatic)
- 얻기/접근 (Access to tangibles)
- 기능을 알면 대체 행동을 설계할 수 있다: 기능을 이해하면, 문제행동 대신 같은 기능을 가진 긍정적 행동을 가르칠 수 있습니다²⁾.
🧩 기능을 파악하는 4단계 질문 전략
1. 행동이 일어나기 직전 어떤 상황이 있었는가?
- 목적: 선행사건(Antecedent)을 통해 행동 유발 요인을 파악
- 예시: 청소 시간이 다가오자 아이가 소리를 지름 → 회피 가능성
2. 행동 이후 무슨 일이 벌어졌는가?
- 목적: 결과(Consequence)를 통해 행동이 어떤 결과를 얻었는지 파악
- 예시: 아이가 울자 교사가 간식을 먼저 줌 → 얻기/접근 기능 가능성
3. 행동은 어떤 상황에서 가장 자주 발생하는가?
- 목적: 반복 환경을 통해 기능을 유추
- 예시: 특정 친구와 있을 때 문제행동 증가 → 주의끌기 or 회피 가능성
4. 행동이 충족시키는 욕구는 무엇일까?
- 목적: 행동의 기능(욕구 충족)을 언어화
- 예시: 시끄러운 공간에서 귀를 막고 소리침 → 감각 자극 조절 가능성
📌 사례 예시: 회피 기능 파악과 중재
현우(가명, 만 5세)는 책 읽기 활동이 시작되면 갑자기 화장실을 가겠다고 하거나, 책상을 손으로 치며 거부 행동을 보였습니다. 초기에는 단순한 반항으로 여겨졌지만, 기능적 행동 평가를 통해 ‘읽기 활동 회피’가 목적임이 확인되었습니다.
이후 치료사는 회피 기능을 충족할 수 있는 **적절한 요청 행동(예: "잠깐 쉴 수 있을까요?")**을 가르쳤고, 요청 시 일정 시간 쉬는 기회를 제공하며 강화했습니다. 몇 주 후 현우는 문제행동 없이 요청 표현으로 회피 욕구를 표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본 사례는 실무 현장을 기반으로 한 가명 사례입니다.
✅ 기능 분석을 위한 부모용 관찰 체크리스트
항목 예/아니오
행동이 자주 발생하는 시간대가 있다 □ 특정 사람이나 상황에서 행동이 증가한다 □ 행동 이후 무언가를 얻거나 피할 수 있다 □ 행동이 **특정 자극(소리, 냄새 등)**에 반응한다 □ 행동 전후 교사의 반응이 반복된다 □ 행동 후 아동이 조용해진다 / 편안해 보인다 □ 행동이 없을 땐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고 있다 □ 행동 없이도 대안적 방법을 배우지 않았다 □ 같은 행동이 다른 환경에서도 나타난다 □ 행동 이후 아동의 욕구가 충족된 것처럼 보인다 □
📚 참고문헌
- O'Neill, R. E., Horner, R. H., Albin, R. W., Sprague, J. R., Storey, K., & Newton, J. S. (2014). Functional Assessment and Program Development for Problem Behavior (3rd ed.). Cengage Learning.
- Hanley, G. P., Iwata, B. A., & McCord, B. E. (2003). Functional analysis of problem behavior: A review.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36(2), 147–185.
- Cooper, J. O., Heron, T. E., & Heward, W. L. (2020). Applied Behavior Analysis (3rd ed.). Pearson Education.
문제행동을 단순히 없애려 하지 말고,
“왜 이 행동을 할까?”라고 물어보는 것에서 중재는 시작됩니다.'응용행동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제행동의 숨은 원인 찾기 – ABA의 ABC 분석 완벽 가이드 (심화편) (0) 2025.05.07 싫어요 대신 도망치는 아이, 회피 행동에 대한 대응 전략 (0) 2025.05.06 아이가 요구를 말하지 못할 때: 요청 행동을 키우는 ABA 전략 (0) 2025.05.04 행동빈도 감소 목표의 효과 측정 지표 설계 방법 (0) 2025.05.03 ABC 데이터 분석의 실제 적용 사례 (0) 2025.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