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용행동분석

놀이 기반 중재와 ABA의 결합

damjun 2025. 3. 29. 02:03

놀이 기반 중재와 ABA의 결합

1. 놀이 기반 중재의 개요와 ABA의 연계 필요성

놀이 기반 중재(Play-Based Intervention)는 아동의 자발적인 놀이를 중심으로 학습과 발달을 지원하는 접근입니다. 놀이 상황 속에서 사회성, 언어, 감정 조절 등의 기술을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어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아동에게 효과적입니다. 반면, ABA(Applied Behavior Analysis)는 구조화된 환경에서 행동의 기능을 분석하고 강화물을 사용하여 바람직한 행동을 유도하는 과학적 접근입니다. 두 접근법은 대조적으로 보일 수 있으나, 실제로는 상호보완적으로 결합이 가능하며, 놀이 상황에서 ABA의 전략을 적용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중재가 가능합니다.

2. 놀이 기반 ABA 접근의 이론적 근거

놀이의 동기는 아동의 내적 흥미에 기반하지만, ABA의 원칙을 활용하여 놀이 중 원하는 행동을 강화하거나 부적절한 행동을 교정할 수 있습니다. Vygotsky(1978)의 근접 발달 영역(ZPD) 이론에 따르면, 아동은 자신보다 약간 높은 수준의 도전을 통해 발달하며, 놀이 속 성인은 이를 자연스럽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ABA는 이러한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강화 계획, 모델링, 과제 분석을 통해 목표 행동을 가르칠 수 있습니다.

3. 놀이 기반 ABA 중재의 핵심 전략

3-1. DTT와 놀이 활동의 통합

Discrete Trial Training(DTT)은 전통적으로 테이블에서 실시되지만, 이를 놀이 상황에 맞게 변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블록 쌓기나 역할놀이 중 특정 행동(예: 요청하기, 눈 맞춤, 차례 기다리기)에 대해 강화 제공과 반복 훈련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3-2. PRT(중재반응훈련)의 활용

PRT(Pivotal Response Treatment)는 아동의 동기를 높이는 것을 중시하며,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반응을 이끌어내는 ABA 전략입니다. 예를 들어, 아동이 좋아하는 자동차 장난감을 활용해 자발적 언어 표현을 유도하고, 이를 즉시 강화합니다. 이는 자발성, 일반화, 내재적 동기 부여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입니다.

3-3. 강화의 놀이화

ABA에서 사용되는 외적 강화(예: 스티커, 음식)를 놀이의 일부로 포함시켜 놀이 자체가 강화가 되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숨바꼭질 게임 중 찾았을 때 칭찬과 하이파이브를 제공하거나, 퍼즐 조각을 보상으로 사용해 문제 해결 동기를 높입니다.

3-4. 공동 주의와 사회적 놀이 기술 지도

공동 주의(Joint Attention)는 사회성 발달의 핵심으로, 놀이 중 교사나 또래의 시선을 따라가거나 같은 장난감에 관심을 가지는 행동을 강화합니다. 또래와의 역할극, 인형극 등에서 사회적 규칙(예: 양보, 순서 지키기)을 지도하고, 자연스럽게 피드백합니다.

4. 실제 적용 사례

사례 1: 언어 발화가 부족한 자폐 아동

5세 남아 A는 요청 행동이 거의 없고, 장난감을 혼자 반복적으로 가지고 놀았습니다. 치료사는 PRT 기반 놀이 중재를 통해 아동이 원하는 장난감을 직접 말로 요청할 때만 장난감을 주는 전략을 사용하였습니다. 3주 후, 아동은 10개 이상의 단어를 상황에 맞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사례 2: 사회적 기술이 낮은 자폐 아동

6세 여아 B는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거의 없고 놀이에 참여하지 않으려 했습니다. 교사는 역할놀이와 인형극을 활용해 B가 먼저 친구를 초대하거나 양보하는 행동을 유도하였고, 행동이 나타날 때마다 즉시 칭찬과 놀이 지속이라는 강화물을 제공했습니다. 4주 후, B는 하루 평균 2회 이상의 또래 놀이 참여를 보였습니다.

5. 실행 절차 및 운영 지침

1단계: 아동의 놀이 수준, 흥미, 언어 및 사회성 기술 평가 2단계: 중재 목표 설정 (예: 요청하기, 차례 지키기, 또래와 상호작용) 3단계: 놀이 환경 구성 (장난감 선택, 역할 분담, 규칙 안내) 4단계: 놀이 중 ABA 전략 삽입 (DTT, 강화계획, 모방 유도 등) 5단계: 관찰 및 피드백 제공 (행동 변화 측정, 일지 기록 등) 6단계: 전략 조정 및 일반화 훈련 (가정이나 학교 상황 연계)

6. 결론 및 제언

놀이 기반 중재와 ABA의 결합은 자폐 아동에게 학습과 사회성 기술을 보다 자연스럽고 흥미롭게 익힐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자발성을 중시하는 놀이와 체계적 접근을 중시하는 ABA는 서로를 보완할 수 있으며, 교사와 보호자가 협력하여 환경을 구조화하고 전략을 유연하게 적용할 때 그 효과가 극대화됩니다. 앞으로는 인공지능 기반 놀이 분석 기술, 가상현실 놀이 환경 등 첨단 기술과의 접목을 통해 보다 정교하고 개인화된 놀이 기반 ABA 전략이 가능해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