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A(응용행동분석) 마스터 클래스

이 블로그는 응용행동분석(ABA)에 기반한 아동 행동 중재 전략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정보와 사례를 통해, 아동의 긍정적인 행동 변화를 돕고자 합니다.

  • 2025. 4. 22.

    by. damjun

    목차

      응용행동분석학

      들어가며

      아이들이 느끼는 부정적인 감정, 예를 들어 화, 슬픔, 질투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경험하는 자연스러운 정서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감정을 표현하거나 다루는 방식은 발달 수준, 환경, 훈련 여부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특히 자폐 스펙트럼 아동이나 정서적 조절이 어려운 아동의 경우, 감정 조절 실패가 곧바로 문제행동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ABA(응용행동분석)에서는 감정을 억누르거나 회피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감정 상태에서의 바람직한 행동을 가르치고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글에서는 화, 슬픔, 질투라는 대표적인 부정적 감정을 중심으로 ABA에서의 접근 전략을 소개합니다.


      1. 감정은 '상태'가 아닌 '행동'으로 본다

      ABA에서는 감정을 감각적 또는 내적 상태가 아니라, 측정 가능한 행동의 집합으로 해석합니다. 예를 들어 "화를 낸다"는 것은 소리를 지른다, 얼굴이 붉어진다, 손을 흔든다 등 구체적인 행동으로 관찰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훈련 전략을 구성합니다.

      이러한 시각은 감정 표현을 단순히 감정 상태의 결과로 치부하지 않고, 반응 가능한 행동 패턴으로 분석하고 지도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실용적입니다.


      2. 감정별 ABA 중재 전략

      화(분노) 대응 전략

      • 문제 행동 기능 분석: 화가 났을 때 나타나는 공격, 자해 등의 행동은 회피, 관심 유도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음
      • 대체 행동 가르치기: "나는 지금 화났어요"라고 말하기, 휴지 들고 자기 진정하기, 방에 가서 3분 쉬기 등
      • 시각자료 활용: 감정 온도계, 분노 조절 카드, 진정 행동 체크리스트 등
      • 예방 전략: 화가 나기 전 신체 신호(주먹 쥠, 빠른 호흡 등) 인식 훈련

      슬픔 대응 전략

      • 감정 인식 말하기: "속상해", "마음이 아파"와 같은 표현을 반복 연습
      • 슬픈 상황 역할극: 인형극, 이야기 속 등장인물 감정 분석을 통한 반응 훈련
      • 위로받기 행동 학습: 슬플 때 부모나 교사에게 도움 요청하는 방식 강화
      • 감정 일기 또는 그림일기 쓰기: 슬펐던 순간과 그 이유, 이후의 감정 변화를 기록

      질투 대응 전략

      • 질투 상황 시나리오 훈련: 동생이 칭찬 받을 때, 친구가 더 큰 선물을 받았을 때 등
      • 강화 차등 조절: 과도한 비교 피하고, 본인의 노력에 따라 정당한 강화 제공
      • 대안 행동 가르치기: "나도 하고 싶어요"라는 요청 행동, "내 차례를 기다릴게요" 발화 훈련
      • 협동 중심 활동 구성: 경쟁보다 협력 중심의 공동 과제를 통해 질투 감정 완화

      3. 감정 행동의 일반화와 유지 전략

      • 다양한 환경에서의 반복 훈련: 가정, 유치원, 치료실에서 동일한 구조의 전략 적용
      • 감정 행동이 나타났을 때의 즉각적 피드백: 문제행동이 아닌 적절한 표현이 나타났을 때 즉시 강화
      • 역할 인물 확대: 부모, 교사, 또래 친구 등 다양한 대상과 함께 감정 조절 기술 연습
      • 일관된 반응 체계: 교사, 부모, 치료사가 동일한 방식으로 반응하여 혼란 최소화

      실제 사례 예시

      윤재(가명, 만 7세)는 동생이 칭찬받을 때마다 얼굴을 붉히며 장난감을 집어던지는 행동을 반복했습니다. 치료사는 윤재에게 감정 온도계를 활용해 스스로 질투 수준을 인식하게 하고, "나도 칭찬받고 싶어요"라는 문장을 카드로 연습하도록 했습니다. 3주 후 윤재는 실제 상황에서 동생을 쳐다보며 스스로 카드를 꺼내 요청했고, 교사는 즉각적으로 윤재의 행동을 칭찬하며 별도의 보상을 제공했습니다.

      이후 비슷한 상황에서도 문제 행동은 감소하고, 요청 행동의 빈도가 증가하였습니다.

      ※ 위 사례는 임상 경험을 기반으로 재구성된 예시이며, 이름은 가명입니다.


      요약과 실천 가이드

      감정 중재 목표 주요 전략

      폭발 행동 감소 및 자기 진정 감정 온도계, 대체 표현, 진정 행동 훈련
      슬픔 위축 행동 감소 및 위로 요청 행동 유도 감정 일기, 역할극, 말로 표현하기
      질투 공격 및 회피 행동 감소, 협력 행동 증가 요청 행동 훈련, 시나리오 훈련, 강화 계획

      실천 팁:

      • 부정적 감정은 없애야 할 대상이 아니라 ‘다루는 법’을 배워야 할 기술입니다.
      • 감정은 상태가 아닌 ‘행동’으로 정의하고, 구체적인 반응을 지도하세요.
      • 교사와 부모가 일관되게 강화하고, 다양한 상황에서 반복 연습하세요.

      참고문헌

      1. Gunter, P. L., Fox, J. J., & Shores, R. E. (1995). Increasing academic engagement through systematic analysis and intervention: Examples using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School Psychology Review, 24(1), 33–46.
      2. Denham, S. A. (1998). Emotional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Guilford Press.
      3. Cooper, J. O., Heron, T. E., & Heward, W. L. (2020). Applied Behavior Analysis (3rd ed.). Pearson Education. https://www.pearson.com/en-us/subject-catalog/p/applied-behavior-analysis/P200000003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