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A(응용행동분석) 마스터 클래스

이 블로그는 응용행동분석(ABA)에 기반한 아동 행동 중재 전략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정보와 사례를 통해, 아동의 긍정적인 행동 변화를 돕고자 합니다.

  • 2025. 4. 26.

    by. damjun

    목차

      ㄱ🎯 시작하며 – 치료 계획의 중요성

      ABA(응용행동분석) 중재는 체계적인 계획 없이는 지속성과 효과를 담보할 수 없습니다. 치료 계획은 아이의 현재 수준, 목표 행동, 환경 변수, 강화 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설계하는 로드맵입니다.

      하지만 현장에서 치료 계획 수립 시 몇 가지 중요한 요소를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ABA 치료 계획을 세울 때 실무자가 반드시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들을 정리합니다.


      🧩 치료 계획 수립 시 고려해야 할 5가지 핵심 요소

      1. 기능적 행동 평가(FBA: Functional Behavior Assessment) 기반 목표 설정

      • 왜 중요한가?: 모든 행동은 이유(기능)를 가지고 발생합니다. 단순히 '문제 행동을 줄인다'는 목표는 기능을 무시한 접근이 될 수 있으며, 이는 행동을 억누를 뿐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않습니다. FBA를 통해 행동의 목적(회피, 주의 끌기, 감각적 만족 등)을 파악하면 문제 행동을 대체할 적절한 행동을 가르치는 목표를 세울 수 있습니다.
      • 어떻게 고려해야 하나?: 행동 발생 전후의 패턴을 ABC 데이터(Antecedent-Behavior-Consequence)로 기록하여, 어떤 상황에서 행동이 일어나고 어떤 결과가 따르는지 분석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목표 행동을 설정합니다.
      • 주의할 점: 겉으로 보이는 행동(예: 울기, 소리 지르기)에만 집중하지 말고, 행동 뒤에 숨은 기능을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예: 울음 → 회피 기능 → "그만 하고 싶어요"라는 요청 행동 목표 설정.

       

      2. 아동의 발달 단계 및 개인적 특성 반영

      • 왜 중요한가?: 모든 아동은 발달 수준, 언어 능력, 감각 민감성, 선호도가 다릅니다. 동일한 목표라도 아동의 특성에 맞추지 않으면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 어떻게 고려해야 하나?: 선호도 평가(Preferred Item Assessment)를 통해 아동이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을 파악하고, 강화물과 활동을 맞춤화합니다. 또한, 언어 능력 수준에 따라 비언어 아동 → PECS 활용, 언어 아동 → 발화 표현 훈련 등으로 목표를 조정합니다.
      • 주의할 점: 아동의 수준을 과대평가하거나 과소평가하지 않도록 발달 검사나 초기 평가를 충분히 반영해야 하며, 선호도는 시간이 지나면서 변할 수 있으므로 주기적 재평가가 필요합니다.

       

      3. 환경 변수 및 가정-기관 연계 고려

      • 왜 중요한가?: 아동은 치료실, 가정, 유치원 등 다양한 환경에서 생활합니다. 한 환경에서 배운 행동이 다른 곳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면 진정한 학습이 아닙니다.
      • 어떻게 고려해야 하나?: 목표 행동을 다양한 환경에서 연습하고 일반화할 수 있도록 계획에 포함해야 합니다. 예: 요청 행동 → 치료실에서 학습 → 가정, 유치원으로 확장. 이를 위해 보호자, 교사와의 협력이 필요하며, 동일한 시각자료나 지시어를 사용하도록 조정합니다.
      • 주의할 점: 기관 간 정보 전달이 부족하면 환경별로 서로 다른 반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소통과 피드백 루틴을 마련해야 합니다.

       

      4. 강화 계획 및 데이터 수집 방법 명확화

      • 왜 중요한가?: 강화가 없다면 행동은 유지되지 않습니다. 또한, 데이터가 없다면 중재가 효과적인지 판단할 수 없습니다.
      • 어떻게 고려해야 하나?: 어떤 행동에 어떤 강화물을 사용할지 구체화하고, 강화는 즉각적이고 일관되게 제공해야 합니다. 데이터 수집 방법은 목표 행동에 따라 빈도, 지속시간, 간격 등으로 명확히 구분하여 설정합니다.
      • 주의할 점: 강화물이 변하면 효과도 변하므로 선호도 평가를 주기적으로 실시해야 하며, 데이터 수집 시 측정 기준을 모두가 동일하게 이해하고 적용하도록 해야 합니다.

       

      5. 단계별 목표 설정 및 검토 시점 명확화

      • 왜 중요한가?: 목표가 너무 크거나 모호하면 아동도 치료사도 성취감을 느끼기 어렵습니다. 세분화된 목표와 명확한 검토 주기가 있어야 중재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조정할 수 있습니다.
      • 어떻게 고려해야 하나?: 장기 목표를 달성 가능한 단기 목표로 나누고, 각 단계의 성공 기준(예: 80% 이상 성공 시 다음 단계로)을 설정합니다. 검토 주기(예: 월 1회)를 설정하여 목표 달성률, 전략 효과 여부를 점검합니다.
      • 주의할 점: 목표는 아동의 변화 속도에 따라 유연하게 조정해야 하며, 너무 빠르거나 느린 진행은 오히려 동기 저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검토 시 아동, 보호자, 교사의 피드백을 모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FBA: Functional Behavior Assessment) 기반 목표 설정
      • 행동의 단순 빈도가 아니라, **행동의 기능(목적)**을 파악해야 효과적인 목표를 세울 수 있습니다.
      • 예: 자해 행동 → 회피 기능 → 적절한 회피 요청 행동을 목표로 설정
      • FBA는 ABC 데이터(선행-행동-결과)를 통해 행동의 패턴과 기능을 분석합니다.

       

      2. 아동의 발달 단계 및 개인적 특성 반영

      • 인지 수준, 언어 능력, 감각 민감성, 흥미 등을 고려하여 개별화된 목표와 접근법을 설정합니다.
      • 예: 비언어 아동 → PECS(그림교환의사소통시스템) 활용한 요청 행동 목표 설정
      • 아동 선호도 평가를 통해 강화물과 활동을 맞춤화합니다.

       

      3. 환경 변수 및 가정-기관 연계 고려

      • 행동은 환경의 산물입니다. 따라서 가정, 유치원, 치료실 등 다양한 환경의 변수를 계획에 포함시켜야 합니다.
      • 동일한 목표 행동이 다양한 환경에서 나타날 수 있도록 일반화 계획을 포함합니다.
      • 보호자와 교사와의 협력을 통해 환경 간 일관성을 확보합니다.

       

      4. 강화 계획 및 데이터 수집 방법 명확화

      • 어떤 행동에 어떤 강화물을 사용할지 구체적인 강화 계획이 필요합니다.
      • 예: 요청 행동 → 스티커 보상 → 5개 모이면 장난감 시간 제공
      • 행동 측정 방법(빈도, 지속시간, 간격 등)을 명확히 설정하여 중재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단계별 목표 설정 및 검토 시점 명확화

      • 장기 목표를 단기 목표로 세분화하고, 각 단계별로 **성공 기준(Criterion)**을 명확히 설정합니다.
      • 예: 요청 행동 → 1단계: 1일 3회 요청 → 2단계: 다양한 환경에서 요청
      • 주기적인 검토(월 1회 등)를 통해 목표 수정 여부를 판단합니다.

      계획수립


      🧠 ABA 원칙과의 연결: 왜 이 요소들이 중요한가?

      • 과학적 근거 기반: ABA 치료 계획은 단순한 직관이 아닌 데이터와 평가에 기반해야 효과적입니다.
      • 개별화(INDIVIDUALIZATION): 모든 아동은 다르므로, 발달 수준, 환경 변수, 선호도에 맞춘 계획이 필요합니다.
      • 반응 일반화(GENERALIZATION)와 유지(MAINTENANCE): 다양한 환경과 시간이 지나도 행동이 유지되려면 이를 고려한 계획이 필수적입니다.
      • 객관적 평가 가능성: 데이터 수집 방법을 명확히 해야 치료가 효과적인지, 조정이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 실제 사례 예시

      하준(가명, 만 4세)은 요청 행동을 거의 보이지 않고, 요구 상황에서는 울거나 떼쓰는 행동을 보였습니다. 치료사는 FBA를 통해 요구를 전달할 수단이 부족한 것이 주요 원인임을 파악하고, PECS를 활용한 요청 행동 증가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 장기 목표: 다양한 환경에서 요청 행동을 1일 5회 이상 표현하기
      • 단기 목표: 치료실에서 그림카드로 요청 행동 1일 3회 → 가정으로 확장
      • 강화 계획: 요청 행동 후 즉각적으로 원하는 장난감 제공
      • 검토 주기: 매월 목표 달성률 확인 및 수정 여부 논의

      3개월 후 하준은 가정, 유치원, 치료실에서 각각 요청 행동을 안정적으로 보이며, 더 복잡한 문장으로 요청하기 목표로 확장되었습니다.

      ※ 본 사례는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재구성된 예시이며, 이름은 가명입니다.


      ✅ 치료 계획 수립 체크리스트 (실무자용)

      1. 행동 목표는 FBA 결과를 반영하여 설정했는가?
      2. 아동의 발달 수준, 선호도를 고려하여 계획을 세웠는가?
      3. 환경별 일반화 전략이 포함되어 있는가?
      4. 강화 계획과 데이터 수집 방법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는가?
      5. 목표는 단계별로 세분화되어 있으며 검토 주기가 명확한가?

      📚 참고문헌

      1. O'Neill, R. E., Horner, R. H., Albin, R. W., Sprague, J. R., Storey, K., & Newton, J. S. (2014). Functional Assessment and Program Development for Problem Behavior (3rd ed.). Cengage Learning.
      2. Cooper, J. O., Heron, T. E., & Heward, W. L. (2020). Applied Behavior Analysis (3rd ed.). Pearson Education.
      3. Leaf, R., & McEachin, J. (1999). A Work in Progress: Behavior Management Strategies and a Curriculum for Intensive Behavioral Treatment of Autism. DRL Books.

      치료 계획은 아이의 변화를 이끄는 설계도입니다. 탄탄한 계획이 있어야 아이의 성장을 예측 가능하게 만들고, 필요한 순간에 방향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