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용행동분석

ABA 중재 도중 나타나는 ‘소거 폭발’ 현상: 이해와 대응 전략

damjun 2025. 4. 10. 21:05

응용행동분석

문제 인식

아이의 문제행동을 줄이기 위해 새로운 ABA 중재를 시작했는데, 며칠 지나지 않아 오히려 행동이 더 악화되는 모습을 보인다면 어떻게 느껴질까요? 치료사와 교육자는 당황하고, 부모는 “중재가 잘못된 것 아니냐”며 걱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일시적 악화는 표면적으로 중재 실패처럼 보여 치료 현장에서 흔한 고민거리입니다. 그러나 행동분석 관점에서 이는 중재가 효과를 발휘하기 시작하는 과정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시 말해, 행동이 더 나빠졌다가 나아지는 이 현상은 잘못된 것이 아니라 예견된 과정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 악화 현상을 이해하지 못하면 부모나 실무자가 중재를 중단하거나 일관성을 잃기 쉽습니다. 아이의 문제행동이 갑자기 심해지면 “더 이상 견디기 어렵다”, “우리 아이에게 맞지 않는 방법인가?”라는 생각이 들기 마련입니다. 따라서 먼저 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지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핵심 개념: ‘소거 폭발’이란?

ABA에서 소거(extinction)란 문제행동에 주어지던 강화(보상)를 중단함으로써 그 행동을 줄이는 절차를 말합니다¹. 이때 흔히 나타나는 부작용 중 하나가 소거 폭발(extinction burst)입니다.

행동주의 이론에 따르면, 어떤 행동이 더 이상 강화되지 않을 때 일시적으로 행동의 강도나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². 이를 소거 폭발이라고 합니다. 문헌에서는 소거폭발을 “목표 행동의 빈도, 지속시간 또는 강도가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으로 정의합니다².

소거폭발 현상은 학술적으로도 입증된 개념입니다. Lerman 등(1999)은 자폐 아동의 자기상해 행동 치료에서 소거폭발과 공격행동 증가 같은 소거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빈도를 연구한 결과, 사례의 약 24%에서 소거폭발이 관찰되었다고 보고했습니다³.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소거 단독으로 개입한 경우보다 대체 행동을 함께 강화한 경우에 소거폭발 발생 확률이 훨씬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³.


대응을 위한 구체 전략

  1. 사전 교육 및 기대치 설정: 소거폭발 가능성에 대해 미리 부모와 실무자에게 교육합니다. 중재 초기에 문제행동이 일시적으로 증가할 수 있음을 명확히 설명하여, 이를 중재 실패가 아닌 과정의 일부로 받아들이게 합니다.
  2. 일관성 유지와 인내: 소거폭발이 나타나더라도 계획된 중재를 일관되게 지속해야 합니다³. 행동이 격해지는 가장 힘든 순간에 강화(보상)를 주어버리면, 아이는 더욱 심한 행동을 하면 결국 얻을 수 있다고 학습하게 됩니다.
  3. 대체 행동 교수 및 강화: 소거 절차만으로는 아이가 어떻게 원하는 것을 얻어야 할지 모른 채 좌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문제가 되는 행동 대신 할 수 있는 대체 행동을 함께 가르쳐야 하며, 그 행동에 즉시 강화를 제공합니다³.
  4. 안전한 환경 조성 및 감시: 소거폭발로 행동이 거세지면 신체적 위험이 따를 수도 있습니다. 아이가 물건을 집어 던지거나 자기 자신이나 타인을 다치게 할 우려가 있다면, 환경을 미리 안전하게 정비해야 합니다.
  5. 모니터링과 피드백: 소거폭발 기간 동안 데이터를 면밀히 기록하고 관찰합니다. 행동의 빈도와 강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추이를 그래프로 나타내거나 일지를 써서 확인하면, 중재의 효과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습니다.

사례 예시

민수(가명, 5세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는 요구가 좌절될 때마다 바닥에 드러눕고 크게 우는 문제행동을 보였습니다. 치료팀은 민수의 요구 보상이 문제행동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하여, 요구할 때 울어도 들어주지 않는 소거 전략을 중재계획에 포함시켰습니다. 중재 첫 주에는 예상대로 민수의 울음이 더 격렬해졌습니다. 이전보다 더 오래 울고 발로 차며 심하게 떼쓰는 소거폭발 현상이 나타난 것입니다.

하지만 치료사는 민수가 울음을 멈추고 차분해지는 순간에만 부탁한 것을 들어주거나 칭찬과 포옹 같은 관심을 제공하며 일관되게 대처했습니다. 또한 민수에게 “우는 대신 말로 요청하기”를 꾸준히 가르치고, 민수가 말로 요구할 때마다 즉시 원하는 것을 주어 새로운 의사소통 방법을 강화했습니다.

그 결과 2주차에 들어서면서부터 민수의 문제행동은 현저히 감소하기 시작했습니다. 바닥에 드러눕는 행동의 빈도와 강도 모두 줄어들었고, 대신 짧게 울먹이다가 “필요해요”라고 말하거나 손짓하는 모습이 늘어갔습니다.


마무리 및 실천 가이드라인

소거폭발은 ABA 중재 과정에서 종종 발생하는 일시적 현상이며, 이를 잘 관리하면 궁극적으로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데에 한 걸음 다가갈 수 있습니다. 교육자와 치료사는 이 현상을 두려워하기보다는 이해하고 대비해야 합니다.

  • 소거폭발은 일시적임을 인지
  • 중재 계획의 일관성 유지
  • 안전 및 윤리 고려
  • 대체기술 지속 지도
  • 팀 협력 및 지원

끝으로, 소거폭발은 “더 나아지기 위한 진통”과 같은 것임을 명심해야 합니다. 이 현상을 잘 견뎌내면 결국 목표한 행동 개선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³.


참고문헌

  1. Cooper, J. O., Heron, T. E., & Heward, W. L. (2020). Applied Behavior Analysis (3rd ed.). Hoboken, NJ: Pearson Education. https://www.pearson.com/en-us/subject-catalog/p/applied-behavior-analysis/P200000003800
  2. Miltenberger, R. G. (2015). Behavior Modification: Principles and Procedures (6th ed.). Boston, MA: Cengage Learning. https://www.cengage.com/c/behavior-modification-6e-miltenberger/
  3. Lerman, D. C., Iwata, B. A., & Wallace, M. D. (1999). Side effects of extinction: Prevalence of bursting and aggression during the treatment of self-injurious behavior.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32(1), 1–8.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1284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