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용행동분석

일반화 촉진을 위한 계획 수립과 평가 방법

damjun 2025. 4. 10. 23:27

문제 인식

"치료실에서는 잘하는데 집에서는 전혀 하지 않아요." "다른 사람 앞에서는 잘 반응하면서 가족 앞에서는 무반응이에요."

ABA(응용행동분석) 중재가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환경이나 사람, 상황에서만 행동이 나타나고 다른 맥락에서는 유지되지 않는 경우는 매우 흔합니다. 이러한 문제는 '일반화의 실패'로 볼 수 있으며, 이는 아동의 실제 생활 기능 향상이라는 궁극적인 목표에 큰 장애가 됩니다. 교육자와 치료사는 중재 초기부터 '일반화 계획'을 구조화해야 하며, 평가 기준 또한 명확히 설정되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일시적인 행동 변화에 머무르고, 실생활로의 전이가 이루어지지 않게 됩니다.


핵심 개념: 일반화란 무엇인가?

일반화(generalization)는 학습된 행동이 훈련된 환경을 넘어서 다양한 상황, 사람, 자극, 시간 등으로 확장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¹. Cooper et al.(2020)는 일반화를 "자극 일반화, 반응 일반화, 유지(retention)로 나누어 구분"하며, ABA 중재의 핵심 지표로 간주합니다². 자극 일반화는 동일한 반응이 다양한 자극에서 나타나는 것이며, 반응 일반화는 동일한 자극에 대해 유사한 다른 반응이 나타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유지(retention)는 시간이 지난 후에도 학습된 행동이 유지되는지를 보는 것입니다.

일반화가 잘 일어나지 않으면, 아이는 치료사와의 일대일 세션에서는 학습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지만, 부모나 교사, 또래와의 상호작용 상황에서는 이를 적용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치료 초기 단계부터 일반화를 목표로 한 체계적인 계획이 수립되어야 하며, 단순히 행동 횟수 증가만이 아닌 다양한 맥락에서의 수행 능력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³.


구체 전략: 일반화를 촉진하는 실천 방안

  1. 다양한 교수 환경 제공
    동일한 기술을 다양한 장소(교실, 집, 공원 등), 사람(치료사, 부모, 또래 등), 도구(그림카드, 장난감, 실물 등)와 함께 훈련합니다. 예를 들어, 요청 행동을 치료사 앞에서만 연습하는 것이 아니라, 부모 앞, 또래와의 상황, 다양한 조명이나 소음 조건에서도 반복적으로 연습해야 합니다. 이는 아동이 특정 조건이 아닌 일반적 맥락에서도 행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해 줍니다.
  2. 자연스러운 환경에서의 실습 기회 확대
    DTT(이산시도훈련)처럼 구조화된 훈련 외에도 NET(자연주의 교수법), 상황중심 중재를 활용해 실생활 맥락에서 행동을 유도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물 달라고 요청하기'를 식사 시간이나 물 마시는 실제 상황에서 직접 유도하면, 아이는 기술을 일상에 연결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부모나 교사가 관찰자 또는 반응자로 참여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3. 계획된 자극 일반화 절차 도입
    단일 자극이 아닌 다양한 버전의 자극을 반복 훈련에 포함시켜야 합니다. 예를 들어, ‘컵’이라는 자극을 학습시킬 때, 플라스틱 컵, 유리컵, 머그컵 등 다양한 재질과 색상의 컵을 제시합니다. 아이가 “컵”이라는 언어 반응을 이질적인 자극에 대해 일관되게 사용할 수 있어야 자극 일반화가 이루어진 것입니다.
  4. 대상자별 유지 점검 체계 수립
    행동이 나타나는 횟수만이 아니라,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도 그 행동이 유지되고 있는지를 점검하는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주 1회씩 관찰 세션을 설정하거나, 비개입 상황에서 부모나 교사가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여 '요청 행동'이 몇 번 나타났는지 기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일시적 학습이 아닌 진정한 기능 습득을 판단하는 데 유효합니다.
  5. 비교 인물 및 환경 추가하기
    치료사와의 관계에만 의존하지 않도록, 부모, 형제자매, 교사 등 다양한 사람과 함께 동일한 기술을 반복 연습합니다. 예를 들어, '감사 인사하기' 기술은 교실에서 선생님에게만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집에서 엄마에게, 친구에게도 사용하도록 합니다. 또한 교실, 복도, 놀이터 등 환경이 바뀌어도 기술이 유지되도록 환경 자극 조건을 점차 확장합니다.

응용행동분석학


사례 예시

수진(가명, 6세)은 그림카드를 이용한 요구 표현 훈련을 통해 치료사 앞에서는 원하는 물건을 정확히 요청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가정에서는 카드를 활용하지 않고 다시 소리 지르기나 울음으로 표현하는 일이 반복되었습니다. 치료팀은 일반화 실패를 의심하고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했습니다:

  • 훈련 장소를 치료실에서 가정으로 확장하여, 부모와 함께하는 훈련 세션을 주 2회 이상 포함함.
  • 카드 종류를 다르게 구성하여, 기존의 정형화된 그림 외에 실물 사진, 흑백 이미지, 작은 장난감 부착식 카드 등 다양한 자극 변형을 도입함.
  • 부모가 중재 세션에 직접 참여하여 치료사의 반응 방식을 그대로 적용하고, 요청 시 동일한 강화물을 제공함.
  • 2주, 4주 후 행동 유지 점검을 실시하고, 비치료 시간(예: 주말 외출 시)에 요청 행동이 자연스럽게 나타나는지를 관찰하고 기록함.

결과적으로 수진은 부모 앞에서도 카드를 활용해 요청 행동을 보이기 시작했고, 요청 빈도가 점차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며, 1개월 후 외출 상황에서도 자발적으로 카드 요청을 하는 모습이 관찰되었습니다.


마무리 및 실천 가이드라인

일반화는 '기술 자체'보다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과 조건'을 넓히는 데에 초점을 맞춥니다. 치료사와 교육자는 다양한 자극과 상황을 구조화하여 아동이 배운 행동을 일상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또한 행동의 지속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단기적 변화에 그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실천 체크리스트:

  • 훈련 환경이 다양화되었는가?
  • 반응이 다른 사람에게도 동일하게 나타나는가?
  • 행동이 일정 시간 후에도 유지되는가?
  • 부모와 교사가 함께 훈련에 참여하고 있는가?
  • 자극 변화에 따라 행동이 안정적으로 나타나는가?

참고문헌

  1. Stokes, T. F., & Baer, D. M. (1977). An implicit technology of generalization.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10(2), 349–367. https://doi.org/10.1901/jaba.1977.10-349
  2. Cooper, J. O., Heron, T. E., & Heward, W. L. (2020). Applied Behavior Analysis (3rd ed.). Hoboken, NJ: Pearson Education. https://www.pearson.com/en-us/subject-catalog/p/applied-behavior-analysis/P200000003800
  3. Stokes, T. F., Osnes, P. G., & Baer, D. M. (1990). A selective review of the persistence and generalization of child behavior change: Practical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Clinical Psychology Review, 10(6), 569–592. https://doi.org/10.1016/0272-7358(90)90096-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