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 4

주의력결핍(ADHD) 아동을 위한 ABA 기반 자기조절 훈련 전략

행동의 통제에서 자기주도 학습으로 나아가기 위한 중재 접근법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는 아동기에 가장 흔히 나타나는 신경발달장애 중 하나로, 주의 집중의 어려움, 충동적 행동, 과잉행동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이로 인해 학업, 사회성, 자기조절 기능 등에 문제가 발생하며, 행동 중재가 요구됩니다.응용행동분석(ABA: Applied Behavior Analysis)은 ADHD 아동의 행동 조절을 위한 매우 효과적인 접근법으로 자리잡아 왔으며, 특히 자기조절(self-regulation) 기술 훈련은 그 핵심 전략 중 하나입니다. 본 글에서는 ABA 이론에 기반한 자기조절 기술의 개념과, ADHD 아동에게 적용 가능한 실질적인 훈련 전략을 문헌과 사례를 통해 자세히 소개합니다.1. 자기조절(Self-R..

응용행동분석 2025.04.02

오류 교정 전략(Error Correction)의 다양한 접근법

ABA 중재에서의 오류 대처와 학습 최적화 전략아이들이 새로운 행동을 배우는 과정에서는 예상치 못한 반응이나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응용행동분석(ABA)에서는 이러한 오류를 단순히 ‘실수’로 간주하지 않고, 학습을 강화하고 행동을 정착시키는 기회로 활용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법이 바로 **오류 교정 전략(error correction procedures)**입니다.본 글에서는 ABA에서 사용되는 오류 교정 전략의 개념과 원리를 설명하고, 주요 전략 유형별 특징, 실제 적용 예시, 학문적 배경 및 실무 팁을 중심으로 오류를 효과적으로 다루는 방법을 소개합니다.1. 오류 교정이란 무엇인가?오류 교정은 학습자가 부적절하거나 틀린 반응을 보였을 때, 교사가 즉각적으로 개입하여 올바른 반응을 강화하도록 돕..

응용행동분석 2025.04.02

자연적 강화물과 인위적 강화물의 비교와 선택 기준

ABA 중재 전략에서의 실제 적용 팁까지응용행동분석(ABA)에서 ‘강화’는 아동의 행동을 증가시키는 핵심 전략입니다. 그런데 강화도 종류에 따라 학습 효과와 일반화 수준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강화물은 크게 **자연적 강화물(natural reinforcers)**과 **인위적 강화물(contrived reinforcers)**로 나뉘며, 중재 전략의 흐름과 단계에 따라 적절한 강화물의 선택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두 강화물의 차이점, 각각의 장단점, 그리고 실제 ABA 현장에서 어떤 기준으로 선택하고 전환하는지를 다뤄보겠습니다.1. 자연적 강화물이란?자연적 강화물은 행동 그 자체의 결과로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긍정적인 결과를 의미합니다.즉, 누가 일부러 주는 것이 아니라, 아동..

응용행동분석 2025.04.01

물리적 촉진 vs 언어적 촉진: ABA에서의 차이점과 사용 시기

아이의 행동을 이끌어내는 ABA 전략 중 하나는 ‘촉진(Prompting)’입니다. 처음부터 행동을 스스로 수행하기 어려운 아동에게는 ‘힌트’가 꼭 필요하죠. 이때 사용되는 촉진은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그중 **물리적 촉진(Physical Prompt)**과 **언어적 촉진(Verbal Prompt)**은 가장 많이 활용되는 대표적인 유형입니다. 하지만 두 촉진은 방식도 다르고, 적절한 사용 시기도 다릅니다. 이 글에서는 두 촉진의 차이와 실제 현장에서 어떤 기준으로 선택하고 사용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물리적 촉진(Physical Prompt)이란?물리적 촉진은 아동의 신체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는 방법입니다. 손을 잡아 블록을 쌓게 하거나, 아이의 팔을 유도하여 그림을 그리게 하는 등의 방식이 대표적..

응용행동분석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