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부모의 고민으로 시작하기
“우리 아이는 좋아하던 스티커나 장난감도 이제는 아무 반응이 없어요. 뭘 줘도 행동이 안 바뀌니까 답답해요.”
많은 부모와 치료사들이 ABA 중재를 하며 마주치는 공통적인 난관 중 하나는 바로 **‘강화가 안 되는 상황’**입니다. 처음엔 잘 반응하던 강화물이 어느 순간부터 효과가 사라지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죠.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강화가 ‘안 통하는 것’이 아니라 잘못 선택되었거나 적절히 조정되지 않은 것일 수 있습니다.
ABA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해 정기적인 강화물 재평가와 선택 전략을 강조합니다.🎯 ABA 원칙과 연결: 왜 강화물 관리가 중요한가?
강화는 행동을 증가시키는 열쇠: 어떤 행동이 반복된다면, 그 행동 뒤에 강화물이 있다는 뜻입니다. 반대로 행동이 유지되지 않는다면, 적절한 강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¹⁾.
선호도 ≠ 강화물: 아이가 좋아한다고 해서 항상 행동을 강화할 수 있는 건 아닙니다. 실제 행동 변화를 이끌어내야 진정한 강화물입니다.
강화 포화(Satiation) 문제: 같은 것을 반복해 제공하면 아이가 질려하거나 반응이 둔해질 수 있습니다. 이는 강화물이 약해지는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²⁾.
재평가는 강화 전략의 일부: 강화물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시간, 상황, 맥락에 따라 변합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선호도 평가와 강화물 재설정이 필수입니다.🧩 강화물 선택과 유지 전략 4단계
1. 선호도 평가로 현재 관심사 파악하기
왜 중요한가?: 아이가 지금 좋아하는 것과 과거에 좋아했던 것은 다를 수 있습니다.
어떻게 하나요?: 관찰법(자유 놀이 중 자주 선택하는 항목 기록), 쌍 선택법(두 항목 제시 후 선택 관찰), 목록 체크 등을 활용합니다.
주의할 점: 선호도는 하루 단위로도 바뀔 수 있으므로 짧은 주기로 반복 평가해야 합니다.2. 강화물이 실제로 행동을 변화시키는지 실험하기
왜 중요한가?: 좋아한다고 해서 실제로 행동을 증가시키는 건 아닙니다.
어떻게 하나요?: 특정 행동(예: 요청 행동) 후 강화물을 제공하고, 그 행동의 빈도 변화를 기록합니다.
주의할 점: 강화물 효과가 없다면, 그건 단순한 선호 대상일 수 있습니다.3. 강화물의 종류를 다양화하고 회전 사용하기
왜 중요한가?: 같은 강화물이 반복되면 포화가 생깁니다.
어떻게 하나요?: 음식, 활동, 장난감, 사회적 강화(칭찬 등) 등 다양한 범주의 강화물을 목록화하여 로테이션합니다.
주의할 점: 로테이션 간격은 아이의 반응을 기준으로 조정하고, 항상 새로운 강화물이 필요하지는 않음을 기억하세요.4. 상황에 따라 사회적 강화로 전환하기
왜 중요한가?: 항상 물리적 보상을 줄 수는 없으며, 장기적으로는 자연스러운 강화로의 전환이 중요합니다.
어떻게 하나요?: “잘했어!”, “멋지다” 같은 사회적 강화를 행동 직후에 즉각적으로 제공하며, 행동 유지력을 테스트합니다.
주의할 점: 사회적 강화만으로 행동이 유지되지 않을 경우, 물리적 강화와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사례 예시: 강화물 교체의 효과
윤재(가명, 만 6세)는 요청 행동을 잘 학습했으나, 한동안 같은 스티커 보상을 제공하자 요청 행동의 빈도가 눈에 띄게 줄었습니다. 치료사는 선호도 평가를 다시 실시했고, 최근 윤재가 퍼즐 놀이에 흥미가 있다는 사실을 파악했습니다. 이후 요청 행동 후 퍼즐 시간 3분 제공으로 강화물을 바꾸자, 행동 빈도가 다시 증가했습니다.
※ 해당 사례는 임상 경험을 기반으로 구성한 가명 사례입니다.📚 참고문헌
1. DeLeon, I. G., & Iwata, B. A. (1996). Evaluation of a multiple-stimulus presentation format for assessing reinforcer preferences.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29(4), 519–533.
2. Cooper, J. O., Heron, T. E., & Heward, W. L. (2020). Applied Behavior Analysis (3rd ed.). Pearson Education.
3. Sundberg, M. L. (1991). Programming verbal behavior. In The Analysis of Verbal Behavior, 9(1), 71–86.
강화는 ABA 중재의 심장입니다.
그 강화가 통하지 않을 때,
아이를 탓하지 말고, 강화물을 먼저 점검해 보세요.'응용행동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ABA 치료 중 집에서는 왜 효과가 떨어질까? 원인 분석과 실전 대응법 (0) 2025.05.11 ABA 치료 효과가 안 보일 때 체크해야 할 5가지 (0) 2025.05.09 문제행동의 숨은 원인 찾기 – ABA의 ABC 분석 완벽 가이드 (심화편) (0) 2025.05.07 싫어요 대신 도망치는 아이, 회피 행동에 대한 대응 전략 (0) 2025.05.06 문제행동이 반복될 때, ABA로 기능을 파악하는 법 (0) 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