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6 4

응용행동분석(ABA)에서 오류 없는 학습(Errorless Learning)의 원리와 실제 적용

오류 없는 학습이란 무엇인가? 실패 없이 배우는 전략오류 없는 학습(Errorless Learning)은 아동이 새로운 행동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실패나 잘못된 반응을 최소화하고, 처음부터 올바른 반응만을 경험하도록 돕는 교수법이다. 이는 아동이 잘못된 반응을 반복하거나 실패를 통해 좌절하지 않도록 하여 자신감을 높이고 빠르게 목표 행동을 학습하도록 지원하는 방법이다. 응용행동분석(ABA)에서 오류 없는 학습은 특히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발달지연, 학습장애 아동에게 널리 사용된다. **Terrace (1963)**는 오류 없는 학습의 초기 개념을 제시하며, 적절한 촉진과 계획을 통해 아동이 오류 없이 목표 행동을 배우는 것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오류 없는 학습이 필요한 이유: 성공 경험의 축적아동..

응용행동분석 2025.03.16

응용행동분석(ABA)에서 촉진(Prompting)의 원리와 실제적용

촉진이란 무엇인가? 행동 학습을 돕는 전략촉진(Prompting)은 아동이 바람직한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일종의 힌트나 도움을 의미한다. 즉, 아동이 독립적으로 행동하기 전에 정확한 반응을 이끌어내기 위해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신호이다. 응용행동분석(ABA)에서 촉진은 아동이 새로운 기술을 배울 때 올바른 반응을 성공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필수 전략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아동이 '안녕'이라고 인사하는 행동을 배우는 과정에서 교사가 아동에게 먼저 '안녕이라고 말해볼까?'와 같은 언어적 촉진을 제공할 수 있다. **Cooper, Heron & Heward (2007)**는 촉진이 바람직한 행동의 성공률을 높이고, 점진적 독립을 지원한다고 강조했다.촉진이 필요한 이유: 독..

응용행동분석 2025.03.16

응용행동분석(ABA)에서 일반화(Generalization)의 원리와 실제 적용

일반화란 무엇인가? 배운 행동을 다양한 상황으로 확장하기일반화(Generalization)는 아동이 배운 특정 행동을 다양한 사람, 장소, 상황에서도 일관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응용행동분석(ABA)에서 일반화는 학습된 행동이 특정 환경이나 특정 사람에게만 제한되지 않고, 실제 일상생활의 다양한 맥락에서도 자연스럽게 사용될 수 있도록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를 들어, 아동이 치료 세션에서 '감사합니다'라고 말하는 것을 배웠다면, 일반화를 통해 가정, 학교, 공공장소에서도 스스로 감사 표현을 할 수 있어야 한다. **Baer, Wolf & Risley (1968)**는 일반화를 ABA의 핵심 목표로 제시하며, 모든 행동 개입의 최종 목표는 아동이 다양한 환경에서 자율적으로 행동..

응용행동분석 2025.03.16

응용행동분석(ABA)에서 자기관리(Self-management)의 원리와 실제 적용

자기관리란 무엇인가? 스스로 행동을 조절하는 기술자기관리(Self-management)는 개인이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계획하고 조절하며 평가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응용행동분석(ABA)에서 자기관리는 외부의 지도나 통제 없이도 개인이 자신의 바람직한 행동을 지속하고 문제 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핵심 전략이다. 자기관리는 특히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ADHD, 발달 지연 아동들에게 장기적 독립성과 자기조절 능력을 키우는 데 필수적인 개입 방법이다. **Koegel & Koegel (1990)**의 연구에 따르면, 자기관리를 통해 아동은 사회적 기술, 학업 과제, 감정 조절과 같은 다양한 영역에서 긍정적 행동을 유지하고 일반화할 수 있다. 자기관리는 단순히 행동을 조절하는 것을 넘어 아동의 자율성과 책..

응용행동분석 2025.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