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9 3

놀이 기반 중재와 ABA의 결합

1. 놀이 기반 중재의 개요와 ABA의 연계 필요성놀이 기반 중재(Play-Based Intervention)는 아동의 자발적인 놀이를 중심으로 학습과 발달을 지원하는 접근입니다. 놀이 상황 속에서 사회성, 언어, 감정 조절 등의 기술을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어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아동에게 효과적입니다. 반면, ABA(Applied Behavior Analysis)는 구조화된 환경에서 행동의 기능을 분석하고 강화물을 사용하여 바람직한 행동을 유도하는 과학적 접근입니다. 두 접근법은 대조적으로 보일 수 있으나, 실제로는 상호보완적으로 결합이 가능하며, 놀이 상황에서 ABA의 전략을 적용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중재가 가능합니다.2. 놀이 기반 ABA 접근의 이론적 근거놀이의 동기는 아동의 내적 흥..

응용행동분석 2025.03.29

ABA와 인지행동치료의 통합 가능성

1. ABA와 인지행동치료(CBT)의 기본 개념응용행동분석(ABA: Applied Behavior Analysis)은 행동주의 이론에 기반을 둔 중재 접근으로, 관찰 가능한 행동을 변화시키는 데 초점을 둡니다. 행동을 유발하는 선행 사건(Antecedent)과 결과(Consequence)를 조작함으로써 아동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방식입니다.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는 사고(thoughts), 감정(feelings), 행동(behaviors)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왜곡된 인지 패턴을 수정함으로써 정서적 문제를 완화하는 접근입니다. 주로 불안, 우울, 강박 등의 정서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되며, 내적 인지를 다루는 것이 특징입..

응용행동분석 2025.03.29

고기능 자폐 아동을 위한 중재 전략

1. 고기능 자폐의 개념과 특징고기능 자폐(high-functioning autism, HFA)는 전반적인 지적 능력이 평균 이상이지만,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서 어려움을 보이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의 아동을 지칭합니다. 이들은 종종 언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정 영역에 높은 집중력이나 지식을 가지고 있지만, 사회적 암시를 이해하는 능력, 융통성 있는 사고, 정서 조절에서 어려움을 겪습니다(Wing, 1981). 따라서 전형적인 자폐 아동과는 다른 중재 접근이 요구됩니다.2. 고기능 자폐 아동의 중재 목표HFA 아동은 인지적으로 뛰어나기 때문에, 학업 영역보다는 사회적 기술, 감정 인식 및 조절, 전이 상황의 유연성, 자율성 향상 등이 중재의 주요 목표가 됩니다. 또한 이들은 자신이 '다르..

응용행동분석 2025.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