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2 3

치료사와 부모의 협력이 중요한 이유

문제 인식“집에서는 잘 안 해요.” “치료사 앞에서는 하던데, 제가 하면 말을 안 들어요.”ABA(응용행동분석) 치료가 아무리 과학적으로 정교하게 설계되더라도, 그것이 일관된 환경에서 반복적으로 적용되지 않으면 기대한 효과를 내기 어렵습니다. 실제로 많은 행동 중재의 실패는 치료 자체의 문제보다 치료사와 부모 간의 협력 부족에서 비롯됩니다. 특히 치료 시간이 하루 중 극히 일부분에 불과하다면, 나머지 시간 동안 아이를 관찰하고 대응하는 부모의 역할은 중재의 효과를 좌우하는 핵심이 됩니다.따라서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단순히 치료사가 중재를 주도하고 부모가 전달받는 구조가 아니라, 양방향 협력과 정보 공유가 이뤄져야 합니다.핵심 개념: 부모는 '보조자'가 아닌 '공동 실행자'ABA에서는 환경이 아동의 ..

응용행동분석 2025.04.12

ABA 치료는 언제까지 해야 할까요? 중단 시점과 기준

문제 인식“ABA 치료를 계속 받아야 할까요?” “언제쯤 그만두어도 괜찮은 걸까요?”치료를 받고 있는 많은 부모들이 일정 시간이 지나면 이 질문과 마주하게 됩니다. 아이가 일정 부분 성장하고, 문제행동이 줄어들고 나면 치료를 계속해야 하는지, 아니면 이제는 자연스럽게 중단해도 되는지 판단이 어려워지곤 합니다. 어떤 경우에는 치료비용이나 스케줄 조정 등의 현실적 요인이 작용하기도 하며, 반대로 치료가 장기화되면서 의존적 중재가 되는 것에 대한 우려도 생깁니다.ABA 치료는 명확한 시작 시점이 있는 반면, 명확한 종료 시점은 사전에 정해져 있지 않다는 점에서, 부모와 치료사가 함께 충분히 논의하고 기준을 설정해야 할 주제입니다.핵심 개념: 중단은 '완료'가 아닌 '전환'이다ABA 치료는 단순히 일정 기간 동..

응용행동분석 2025.04.12

ABA 치료 후기: 실제 사례 기반의 변화 이야기

문제 인식“ABA 치료를 6개월 받았는데, 잘 하고 있는 걸까요?” “다른 아이들은 금방 말도 늘었다던데, 우리 아이는 아직도 변화가 없는 것 같아요.”많은 부모들이 ABA(응용행동분석) 치료를 받으며 가장 궁금해하는 것은 바로 “얼마나 변화했는가?”에 대한 실감입니다. 하지만 이 변화는 단기간에 눈에 띄지 않을 수 있고, 아이마다 진전 속도도 다르기 때문에 단순 비교나 조급함은 오히려 치료의 방향을 흐릴 수 있습니다. 이럴 때 가장 큰 도움이 되는 것은 실제 아이의 변화 사례를 바탕으로 한 현실적인 기대치 설정입니다.이번 글에서는 ABA 치료를 통해 변화한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어떤 경로로 진전이 이루어졌고, 어떤 요소가 효과를 높였는지를 살펴봅니다. 사례는 실무 기반의 상담과 중재 기록을 토대로 재..

응용행동분석 2025.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