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5 3

응용행동분석(ABA)의 강화물 선택을 위한 선호도 평가의 단계별 절차

강화는 응용행동분석(ABA)에서 학습을 이끄는 핵심 요소이며, 아동의 행동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개별 아동이 무엇에 동기화되는지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이를 위한 첫 단계가 바로 **선호도 평가(Preference Assessment)**입니다. 선호도 평가는 강화물 후보의 효과성을 사전에 파악함으로써 중재의 성공률을 높이는 기반이 됩니다.본 글에서는 선호도 평가의 정의, 평가 유형별 절차, 실무에서의 활용 사례, 그리고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팁까지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또한 주요 연구를 통해 이론적 배경과 효과도 함께 제시합니다. 1. 선호도 평가란 무엇인가?**선호도 평가(Preference Assessment)**는 아동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어떤 자극에 더 많이 접근하거나 반응하는지..

응용행동분석 2025.04.05

응용행동분석(ABA)의 일반화 촉진을 위한 계획 수립과 평가 방법

응용행동분석(ABA) 중재에서 학습된 기술이 다양한 상황과 사람, 환경으로 옮겨가 안정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목표입니다. 이를 **일반화(Generalization)**라고 하며, 일반화가 일어나지 않으면 중재의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기부터 일반화를 촉진하는 계획을 수립하고, 그 실행 결과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이 글에서는 일반화의 개념과 유형, 일반화를 위한 사전 계획 수립 방법, 평가 전략, 그리고 실제 현장에서 적용된 사례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1. 일반화의 개념과 유형**일반화(generalization)**란, 특정한 환경이나 사람, 자극에서 학습된 행동이 새로운 환경이나 조건에서도 유지되며 나타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반화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

응용행동분석 2025.04.05

시간 지연(Prompt Delay) 기법의 실제 적용과 효과

응용행동분석(ABA)에서는 아동이 자립적으로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다양한 교수 전략을 사용합니다. 그중 하나가 시간 지연(prompt delay) 기법입니다. 시간 지연은 촉진의 의존성을 줄이고, 아동이 스스로 반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전략으로, 자연스러운 반응 학습과 일반화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본 글에서는 시간 지연 기법의 개념과 유형, 이론적 근거, 실제 적용 사례, 그리고 실무자 및 보호자를 위한 적용 팁을 중심으로 자세히 다루겠습니다.1. 시간 지연(Prompt Delay)이란?시간 지연 기법은 자극(질문, 지시 등)을 제시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촉진을 유보하는 방법입니다. 아동이 스스로 반응할 수 있는 기회를 확보한 뒤, 반응이 없을 때만 촉..

응용행동분석 202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