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7 2

형제자매와 함께하는 행동중재 전략

문제 인식“아이 치료에 집중하다 보니 형제는 소외되는 것 같아요.” “형제가 중재를 방해하거나, 오히려 문제행동을 따라해요.”ABA(응용행동분석) 치료는 일반적으로 개별 아동을 중심으로 계획되지만, 실제 생활에서는 형제자매와 함께하는 시간이 대부분입니다. 이때 형제자매는 긍정적인 촉진자(facilitator)가 되기도 하고, 반대로 치료 환경을 방해하거나 회피 행동의 모델이 되기도 합니다.가정 내 행동중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형제자매를 고려한 중재 전략이 함께 설계되어야 하며, 형제자매의 정서와 역할을 존중하는 방향이 중요합니다.핵심 개념: 형제자매는 '협력자이자 관찰자'로 중재에 참여할 수 있다형제자매는 단순한 가족 구성원이 아닌, 아동의 일상 행동을 가장 자주 관찰하고 함께 상호작용하는 ..

응용행동분석 2025.04.17

집에서 만드는 자가 ABA 환경 가이드

문제 인식"센터에선 잘하는데 집에만 오면 안 해요." "치료실 말고 집에서도 ABA를 실천할 수 있을까요?"많은 부모들이 ABA 치료를 받는 동안, 치료실 내에서는 긍정적인 변화가 보이지만 집에서는 그 행동이 유지되지 않거나 사라지는 문제를 경험합니다. 이는 ABA 치료의 핵심 중 하나인 **일반화(generalization)**가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ABA는 일관된 자극과 강화 조건이 있어야 효과가 유지되며, 이를 위해서는 가정에서도 치료실과 유사한 환경이 조성되어야 합니다. 즉, 아이가 일상생활 속에서도 치료실처럼 반응할 수 있는 자가 ABA 환경을 만들 필요가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집에서도 실천 가능한 ABA 환경을 구축하는 구체적인 전략과 구성 요소를 안내합니다.핵심 개념: 자가 ABA 환경은 ..

응용행동분석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