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0

응용행동분석(ABA)에서 촉진(Prompting)의 원리와 실제적용

촉진이란 무엇인가? 행동 학습을 돕는 전략촉진(Prompting)은 아동이 바람직한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일종의 힌트나 도움을 의미한다. 즉, 아동이 독립적으로 행동하기 전에 정확한 반응을 이끌어내기 위해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신호이다. 응용행동분석(ABA)에서 촉진은 아동이 새로운 기술을 배울 때 올바른 반응을 성공적으로 연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필수 전략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아동이 '안녕'이라고 인사하는 행동을 배우는 과정에서 교사가 아동에게 먼저 '안녕이라고 말해볼까?'와 같은 언어적 촉진을 제공할 수 있다. **Cooper, Heron & Heward (2007)**는 촉진이 바람직한 행동의 성공률을 높이고, 점진적 독립을 지원한다고 강조했다.촉진이 필요한 이유: 독..

응용행동분석 2025.03.16

응용행동분석(ABA)에서 일반화(Generalization)의 원리와 실제 적용

일반화란 무엇인가? 배운 행동을 다양한 상황으로 확장하기일반화(Generalization)는 아동이 배운 특정 행동을 다양한 사람, 장소, 상황에서도 일관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응용행동분석(ABA)에서 일반화는 학습된 행동이 특정 환경이나 특정 사람에게만 제한되지 않고, 실제 일상생활의 다양한 맥락에서도 자연스럽게 사용될 수 있도록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를 들어, 아동이 치료 세션에서 '감사합니다'라고 말하는 것을 배웠다면, 일반화를 통해 가정, 학교, 공공장소에서도 스스로 감사 표현을 할 수 있어야 한다. **Baer, Wolf & Risley (1968)**는 일반화를 ABA의 핵심 목표로 제시하며, 모든 행동 개입의 최종 목표는 아동이 다양한 환경에서 자율적으로 행동..

응용행동분석 2025.03.16

응용행동분석(ABA)에서 자기관리(Self-management)의 원리와 실제 적용

자기관리란 무엇인가? 스스로 행동을 조절하는 기술자기관리(Self-management)는 개인이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계획하고 조절하며 평가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응용행동분석(ABA)에서 자기관리는 외부의 지도나 통제 없이도 개인이 자신의 바람직한 행동을 지속하고 문제 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핵심 전략이다. 자기관리는 특히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ADHD, 발달 지연 아동들에게 장기적 독립성과 자기조절 능력을 키우는 데 필수적인 개입 방법이다. **Koegel & Koegel (1990)**의 연구에 따르면, 자기관리를 통해 아동은 사회적 기술, 학업 과제, 감정 조절과 같은 다양한 영역에서 긍정적 행동을 유지하고 일반화할 수 있다. 자기관리는 단순히 행동을 조절하는 것을 넘어 아동의 자율성과 책..

응용행동분석 2025.03.16

응용행동분석에서 행동계약(Behavior Contract)의 원리와 적용법

행동계약이란 무엇인가? 스스로 행동을 조절하기 위한 약속행동계약(Behavior Contract)은 아동과 성인(교사, 부모, 치료사) 간에 구체적 행동 목표와 보상을 명확히 약속하는 공식적 문서다. 행동계약은 목표로 하는 행동, 그 행동이 발생했을 때 제공될 보상, 실행 시기와 조건 등을 모두 포함하여 아동이 자신의 행동 목표를 스스로 인식하고 책임질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방법은 특히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ADHD, 행동 문제 아동들에게 자기조절 능력과 동기 부여를 높이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Miller & Kelley (1994)**는 행동계약이 행동 변화의 지속성과 자율성 증진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고 보고했다. 행동계약은 단순한 약속이 아니라 구체적 목표와 보상 체계가 명시된 행..

응용행동분석 2025.03.15

응용행동분석에서 소거(Extinction)의 원리와 실제 적용

소거(Extinction)란 무엇인가? 행동 유지 원인 제거하기소거(Extinction)는 특정 행동이 유지되는 원인, 즉 강화 요소를 제거하여 그 행동을 점차 사라지게 만드는 ABA(응용행동분석)의 핵심 전략이다. 쉽게 말해, 어떤 행동이 과거에 보상을 받았기 때문에 반복되었다면, 이제 더 이상 그 행동에 보상을 주지 않음으로써 행동을 줄이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아동이 떼를 쓸 때마다 원하는 장난감을 받았다면, 장난감 제공을 중단하는 것이 소거다. 소거의 목표는 문제 행동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다는 것을 학습시키는 것이며, **Skinner (1938)**의 행동주의 이론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 잡았다. 소거는 단순히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 행동의 강화 메커니즘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차..

응용행동분석 2025.03.15

강화 스케줄(Schedules of Reinforcement)과 행동 유지 전략

강화 스케줄이란 무엇인가? 행동을 유지하기 위한 체계적 보상 계획강화 스케줄(Schedules of Reinforcement)은 특정 행동을 강화하는 시기와 빈도를 체계적으로 조절하는 전략이다. 즉, 아동이 어떤 행동을 할 때 언제, 얼마나 자주 보상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명확한 계획을 의미한다. 강화 스케줄은 행동을 처음 배우는 단계와 이를 지속하고 일반화하는 단계에서 각각 다르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새로운 행동을 가르칠 때는 매번 보상(연속적 강화)이 필요하지만, 행동이 자리 잡은 후에는 간헐적 강화로 유지할 수 있다. **Skinner (1938)**는 강화 스케줄의 사용이 행동의 형성과 유지에 큰 영향을 준다고 강조하였으며, 이후 ABA(응용행동분석) 치료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

응용행동분석 2025.03.14

차별강화(Differential Reinforcement)와 행동 감소 전략

차별강화란 무엇인가?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전략차별강화(Differential Reinforcement)는 문제 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원하지 않는 행동에는 강화하지 않고, 바람직한 대체 행동에만 강화를 제공하는 ABA(응용행동분석)의 핵심 전략이다. 즉, 아동이 문제 행동을 할 때는 무반응하거나 강화하지 않으며, 대신 아동이 적절한 행동을 보였을 때만 즉각적으로 보상하는 방식이다. 차별강화의 목적은 단순히 문제 행동을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아동이 스스로 바람직한 행동을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Skinner (1953)**는 이미 초기 행동 분석 이론에서 차별강화를 통해 바람직한 행동이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특히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ADHD, 발달 지연..

응용행동분석 2025.03.14

강화의 종류와 효과적인 사용법: ABA에서 행동을 변화시키는 핵심 전략

강화란 무엇인가? 행동을 변화시키는 심리적 도구강화(Reinforcement)는 특정 행동이 다시 발생할 확률을 높이기 위해 그 행동 이후에 제공되는 자극이다. 즉, 어떤 행동을 한 후 보상을 받음으로써 그 행동을 반복하고자 하는 동기를 높이는 것이 바로 강화다. 응용행동분석(ABA)에서 강화는 문제 행동 감소와 바람직한 행동 증가 모두를 위해 가장 중심이 되는 기법이다. 특히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ADHD, 발달 지연 아동 교육에 있어 강화는 행동을 가르치고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중요한 점은 모든 아동에게 동일한 강화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개인의 선호와 상황에 맞는 강화물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강화가 올바르게 사용될 때, 아동은 새로운 기술을 배우는 데 동기를 얻고, 문..

응용행동분석 2025.03.13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FCT: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자폐 아동의 문제 행동 대체 전략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FCT)란 무엇인가? 문제 행동 대체를 위한 소통 중심 접근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FCT,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은 문제 행동의 기능을 이해하고, 그 행동을 대체할 수 있는 적절한 의사소통 방법을 가르치는 ABA 기반 중재 방법이다. 즉, 아동이 공격, 자해, 울음, 도망과 같은 문제 행동으로 자신의 요구를 표현하는 대신, **보다 적절하고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한 방식(예: 단어, 문장, 그림, 제스처)**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표다. FCT는 특히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아동처럼 언어 표현이 어렵거나 사회적 의사소통에 제한이 있는 아동들에게 효과적이다. **Carr & Durand (1985)**에 의해 처음 개발된 이후, ..

응용행동분석 2025.03.13

# NDBI(Naturalistic Developmental Behavioral Interventions): 자연주의 발달 행동 개입의 이해와 자폐 아동 적용

NDBI란 무엇인가? 자연주의와 행동 분석의 융합Naturalistic Developmental Behavioral Interventions (NDBI, 자연주의 발달 행동 개입)은 응용행동분석(ABA)과 발달 심리학 원리를 통합한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아동을 위한 치료법이다. NDBI는 아동이 일상적이고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 언어적, 인지적 기술을 습득하도록 돕는 접근법으로, DTT나 PRT와 달리 아동 주도의 놀이와 활동 속에서 교수 기회를 마련한다. **Schreibman et al. (2015)**에 의해 개념이 구체화되었으며, 오늘날 가장 근거 기반이 풍부한 자폐 아동 치료법 중 하나로 인정받는다.NDBI가 필요한 이유: 발달과 행동의 통합적 접근자폐 아동에게 있어 언어, ..

응용행동분석 2025.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