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0

행동 기술 훈련(Behavior Skills Training, BST)의 원리와 ABA에서의 실제 적용

행동 기술 훈련(BST)이란 무엇인가? 체계적 행동 지도 방법행동 기술 훈련(Behavior Skills Training, 이하 BST)은 특정 기술이나 행동을 가르치기 위한 체계적이며 효과적인 교수법으로, **응용행동분석(ABA)**에서 널리 활용되는 핵심 기법입니다. BST는 아동이 새로운 행동을 배우거나 기존 행동을 향상시키는 데 매우 유용하며, 특히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ADHD, 발달지연, 사회성 부족 아동 등 다양한 아동들에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BST의 가장 큰 특징은 단순한 설명과 시범에 그치지 않고, 실제 행동 연습과 피드백까지 포함하는 총체적 지도 방법이라는 점입니다. **Miltenberger (2011)**는 BST를 통해 복잡하거나 어려운 행동도 단계별로 가르칠 수 있다고..

응용행동분석 2025.03.18

집단 강화(집단 우발성, Group Contingency)의 원리와 ABA에서의 적용

집단 강화란 무엇인가? 집단 차원의 행동 변화 전략집단 강화(Group Contingency)는 하나의 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특정 행동 목표를 설정하고, 집단의 행동에 따라 보상을 제공하는 행동 변화 전략입니다. 즉, 개인이 아닌 집단 모두가 행동 목표를 성취할 때만 강화(보상)를 받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전략은 학교, 치료 그룹, 가정 내 형제 그룹 등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되며, 집단 구성원 간 상호작용과 협력을 촉진하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ABA(응용행동분석)에서는 집단 강화가 사회적 기술, 규칙 준수, 협력 행동 등 여러 긍정적 행동을 촉진하는 방법으로 사용됩니다. **Litow & Pumroy (1975)**는 집단 강화를 통해 개별적 행동 지도만으로 어려운 집단 환경에서도 효과적인 행동 변화를..

응용행동분석 2025.03.18

기능적 행동 평가(Functional Behavior Assessment, FBA)의 원리와 ABA에서의 실제 적용

기능적 행동 평가(FBA)란 무엇인가? 행동 문제의 원인을 찾는 과학적 접근기능적 행동 평가(Functional Behavior Assessment, 이하 FBA)는 아동이 문제 행동을 보이는 원인과 목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과정입니다. ABA(응용행동분석)에서 FBA는 모든 행동 중재의 출발점으로, 단순히 문제 행동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행동이 왜 발생하는지, 어떤 기능을 가지는지를 파악하여 효과적이고 맞춤형 중재 전략을 수립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O'Neill et al. (1997)**은 문제 행동을 정확히 이해하지 않고서는 적절한 중재가 불가능하다고 강조했습니다.FBA는 특히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ADHD, 발달지연 아동 등 행동 문제가 빈번한 대상에게 적용되며, 문제 행동을..

응용행동분석 2025.03.17

행동 계약(Contingency Contract)의 원리와 ABA에서의 실제 적용

행동 계약이란 무엇인가? 아동과의 명확한 약속을 통한 행동 변화행동 계약(Contingency Contract)은 아동의 바람직한 행동을 강화하기 위해 미리 아동과 약속을 맺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행동 변화 전략입니다. 즉, 특정 행동을 수행할 경우 어떤 보상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 아동과 명확한 합의를 서면이나 구두로 맺는 방식입니다. 행동 계약은 특히 자율성과 동기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아동이 스스로 목표를 이해하고 참여하는 행동 계획으로 매우 효과적입니다. **Miller & Kelley (1994)**에 따르면, 행동 계약은 아동이 자신의 행동에 대해 책임감을 갖고, 목표를 명확히 인식하게 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검증되었습니다. 이는 ABA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법으로, 특히 자기조절(Self..

응용행동분석 2025.03.17

행동 수정(Behavior Modification)의 원리와 ABA에서의 적용

수정의 정의와 ABA에서의 중요성행동 수정(Behavior Modification)은 심리학적 원리를 바탕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줄이고, 적절하고 긍정적인 행동을 증가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접근법입니다. 이 이론은 **Skinner (1953)**의 행동주의 심리학에서 시작되어, 이후 **응용행동분석(ABA: Applied Behavior Analysis)**의 핵심 전략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ABA는 발달장애,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ADHD, 학습장애 아동에게 행동 수정 기법을 통해 효과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실질적 방법을 제공합니다. 행동 수정의 목표는 단순한 행동 통제가 아니라 아동이 사회에서 독립적이고 적절하게 기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입니다. 행동 수정은 관찰 가능한 행동을 중심..

응용행동분석 2025.03.17

응용행동분석(ABA)에서 토큰 경제(Token Economy)의 원리와 실제 적용

토큰 경제란 무엇인가? 체계적 강화 시스템토큰 경제(Token Economy)는 아동이 바람직한 행동을 할 때마다 토큰(스티커, 카드, 점수 등)을 주고, 이 토큰을 모아 나중에 원하는 보상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체계적 강화 시스템이다. 즉, 직접적인 보상 대신 중간 매개물인 토큰을 제공하여 아동이 바람직한 행동을 유지하고, 목표 행동을 반복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이다. **Kazdin (1977)**이 본격적으로 체계화한 토큰 경제는 특히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ADHD, 발달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다.토큰 경제가 필요한 이유: 행동 유지와 동기 부여많은 아동들이 원하는 행동을 반복하기 위해서는 즉각적이고 분명한 보상이 필요하다. 그러나 항상 즉각적 보상을 주기 어려운..

응용행동분석 2025.03.17

응용행동분석(ABA)에서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FCT: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의 원리와 실제 적용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FCT)이란 무엇인가? 바람직한 의사소통 대안을 가르치는 전략기능적 의사소통 훈련(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FCT)은 문제 행동의 원인이 되는 의사소통의 필요를 파악하고, 그에 대한 적절한 대체 의사소통 행동을 가르치는 전략이다. 즉, 아동이 공격, 자해, 떼쓰기 같은 문제 행동으로 자신의 요구를 표현하는 대신 적절한 방법(언어, 카드, 제스처 등)으로 의사소통하도록 돕는 것이다. **Carr & Durand (1985)**에 의해 처음 제안된 FCT는 특히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발달지연, 언어장애 아동에게서 널리 활용되며, 문제 행동 감소와 사회적 상호작용 향상에 매우 효과적인 전략으로 평가된다.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이 필요한 이유: 문..

응용행동분석 2025.03.17

응용행동분석(ABA)에서 행동 연쇄(Chaining)의 원리와 실제 적용

행동 연쇄란 무엇인가? 복잡한 행동을 순서대로 배우는 전략행동 연쇄(Chaining)는 하나의 복잡한 행동을 여러 개의 작은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를 차례대로 가르쳐서 최종적으로 전체 행동을 완성하는 방법이다. 즉, 아동이 한 번에 복잡한 행동을 배우기 어려울 때, 순서대로 행동을 연결하여 단계별로 지도하는 전략이다. 행동 연쇄는 특히 **일상생활 기술(예: 손 씻기, 옷 입기, 식사 준비)**과 같이 복합적인 행동을 배우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Cooper, Heron, & Heward (2007)**는 행동 연쇄를 통해 아동이 독립적으로 일상생활 행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ABA의 핵심 목표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행동 연쇄가 필요한 이유: 복합 행동 학습의 효율적 방법많은 아동들은 일상..

응용행동분석 2025.03.17

응용행동분석(ABA)에서 행동 조형(Shaping)의 원리와 실제 적용

행동 조형이란 무엇인가? 점진적 행동 학습의 핵심 전략행동 조형(Shaping)은 아동이 목표 행동을 바로 수행하기 어려울 때, 목표 행동에 점진적으로 접근하는 행동을 강화하여 최종 목표에 도달하도록 돕는 전략이다. 즉, 처음부터 완성된 행동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목표 행동의 일부 또는 유사 행동부터 시작해 단계별로 완성된 행동을 형성하는 것이다. **Skinner (1953)**가 제시한 행동 조형의 원리는 복잡한 행동을 작은 단계로 나누어 아동이 쉽게 접근하도록 만드는 체계적인 교수법이다. 이는 특히 언어, 사회적 기술, 독립적 작업 등 복합적인 행동을 가르칠 때 매우 유용하다.행동 조형이 필요한 이유: 자연스러운 학습 과정 지원모든 아동이 복잡한 행동을 한 번에 수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특..

응용행동분석 2025.03.17

응용행동분석(ABA)에서 오류 없는 학습(Errorless Learning)의 원리와 실제 적용

오류 없는 학습이란 무엇인가? 실패 없이 배우는 전략오류 없는 학습(Errorless Learning)은 아동이 새로운 행동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실패나 잘못된 반응을 최소화하고, 처음부터 올바른 반응만을 경험하도록 돕는 교수법이다. 이는 아동이 잘못된 반응을 반복하거나 실패를 통해 좌절하지 않도록 하여 자신감을 높이고 빠르게 목표 행동을 학습하도록 지원하는 방법이다. 응용행동분석(ABA)에서 오류 없는 학습은 특히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발달지연, 학습장애 아동에게 널리 사용된다. **Terrace (1963)**는 오류 없는 학습의 초기 개념을 제시하며, 적절한 촉진과 계획을 통해 아동이 오류 없이 목표 행동을 배우는 것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오류 없는 학습이 필요한 이유: 성공 경험의 축적아동..

응용행동분석 2025.03.16